소소한 과학이야기65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지난 2011년, 지진과 해일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어난 이후, 후쿠시마에서는 원전 오염수가 계속 쌓여가고 있습니다. 후쿠시마 제1원전을 관리하는 동경전력(東京電力)은 2013년부터 다핵종제거시설(ALPS)을 설치하여 원전 오염수를 처리하고, 이를 탱크에 저장하고 있습니다. 동경전력에 따르면 2021년 3월 18일 기준으로 1,250,844㎥의 처리수가 보관 중이라고 합니다. 동경전력에서는 계속되는 오염수의 발생으로 저장탱크가 포화할 것으로 예상하였고, 이에 일본 정부는 약 2년의 준비 기간 후 10~30년에 걸쳐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해양으로 방출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하였습니다. 일본 정부에서는 국제 규제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원전 오염수를 정화하여 방사성 물질을 최대한 제거하고, 다핵종제거시설로 제.. 2023. 3. 22. 챗GPT와 과학은 어떻게 연결되나요? 요즘 어딜가나 핫한 키워드,'ChatGPT'에 대한 내용을 오늘 다뤄볼까 합니다. 챗GPT는 OpenAI라는 회사가 2022년 11월에 공개한 대화용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머신러닝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미리 학습해 이를 문장으로 생성하고 답변하는 생성 AI입니다. 즉, 스스로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모델인 것이죠. 채팅창에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챗GPT는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가 필요로하는 결과물을 직접 만들어서 대답을 해줍니다. 사실 언어 생성 인공지능 모델인 챗GPT가 주목받기 이전부터 생성 AI기술은 이미 다양한 결과물들을 만들어내고 있었는데요. 지난 8월 콜로라도 주립 박람회 미술대회에서 디지털.. 2023. 2. 25. 백두산은 정말 폭발할까? 지난 12월 21일 방송된 JTBC '세계 다크투어'에 강연자로 출현한 '이독실' 과학 커뮤케이터는 각국의 화산폭발 역사를 통해 최근 이상 징후를 보이고 있는 백두산 분화 가능성을 전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당시 강연자는 백두산이 폭발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소개하며 과학자들이 백두산 폭발 가능성을 100%로 보고 있다고 전했고, 화산 폭발은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방송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를 해당 내용을 짜집기한 글이 재생산되며 백두산 분화 이슈가 수면 위로 올라왔습니다. 저 역시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백두산 폭발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었고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백두산 폭발 가능성이 화제가 되었던 적은 과거에도 있습니다. 바로 백두산 화산 폭발이라는 엄청.. 2023. 1. 25. 한국의 토끼 2023년은 계묘(癸卯)년으로 검은 토끼의 해입니다. 검은 토끼의 해를 맞아 우리나라의 토끼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토끼목에는 북한의 높은 산에 서식하는 ‘우는토끼(Ochotona hyperborea)’, 북한의 고산지대 바위 숲에 사는 ‘만주멧토끼(Lepus mandschricus)’, 그리고 한반도 전역에서 서식하는 ‘멧토끼(L. coreaus)’가 있으며, 이중 멧토끼가 바로 주변 야산이나 구릉지의 풀숲에 살고 있는 산토끼입니다. 산토끼(Lepus coreanus Thomas 1892, 영명 Korean Hare)는 토끼목(目) 토끼과(科) 토끼속(屬)에 속하는 포유동물로 멧토끼 또는 야토(野兎)라 부르는 한국 고유종(固有種, EndemicSpecies.. 2022. 12. 21. 이전 1 ··· 5 6 7 8 9 10 11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