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소한 과학이야기66

소고기 쌀을 아시나요? 최근 뉴스를 보면서 매우 재미있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처음 기사 제목만을 읽었을 때는 소고기맛과 향이 나는 쌀을 개발했다는 내용인가 생각했습니다. 기사 내용은 국내 연구진이 쌀에 소의 줄기세포를 결합한 배양육인 '소고기 쌀' 개발에 성공했다는 것이었습니다. '쌀'보다는 '배양육'을 개발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홍진기 연세대학교 화공생명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일반 쌀보다 단백질이 8%, 지방이 7% 더 많이 함유된, 소조직 단백질과 유전적으로 18.54% 일치하는 소고기 쌀을 개발한 연구 결과를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매터(Matter)에 발표했습니다. 배양육을 만들려면 사용할 세포의 종류, 배양액의 종류, 세포를 키울 때 쓰는 지지체, 어떻게 식품으로 가공할지 등 4가지 요소가 중요합니다. 우선 세포가 모.. 2024. 3. 20.
2023년 가장 많이 사용된 AI 도구는? 요즘 과학계에서 가장 핫한 화두는 AI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작년 한 해 동안 어떤 AI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1. ChatGPT Tool category: AI Chatbot Total visits: 14.6B 먼저 작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이 이용된 AI 도구는 ChatGPT입니다. ChatGPT는 이미 기사로 많이 접한 분들도 많으시고 현재 가장 익숙한 AI 도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ChatGPT는 GPT-3.5와 GPT-4라는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채팅을 하듯이 챗봇에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하는 방식입니다. 2. Character.ai Tool category: AI Chatbot.. 2024. 2. 21.
뇌척수액 배출구로 찾은 치매 치료의 새로운 방법 '치매'라는 병은 우리에게도 매우 익숙한 단어인데요. '치매'란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인지 기능이 지속적이고 전반적으로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이 나타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다양한 치매 원인 질환들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일부를 의미하며 알츠하이머 외에도 파키슨병, 전측두엽 퇴행, 루이체 치매 등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치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박사에 의해 최초로 보고되었습니다. 알츠하이머는 서서히 발병해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인데요. 알츠하이머의 발병 기전과 원인에 대해서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나이가.. 2024. 1. 25.
한반도에 살았던 공룡의 흔적 2023년이 이제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올해 2023년이 검은 토끼의 해였다면 2024년은 푸른 용의 해라고 합니다. 용은 뱀처럼 기다란 몸에 새 같은 다리, 사슴의 뿔과 물고기의 비늘을 가지고 있는 상상 속의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용과 관련된 동물을 떠올렸을 때 어떤 사람들은 뱀을 떠올리기도 하고, 악어를 떠올리기도 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용을 떠올렸을 때 가장 비슷하게 떠오르는 동물은 '공룡'입니다. 뱀이나 악어는 현재도 실존하는 동물이지만 공룡은 이미 멸종한 동물이기 때문이 상상의 동물인 용과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초등학교 시절에는 자연사박물관이나 공룡박물관 같은 곳으로 소풍을 가면서 많이 접해왔던 것 같은데 중고등학교 이후에는 공룡에 대한 내용을 접할 기회가 많이 없어졌습니다. 공룡, 특.. 2023.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