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3

[다큐 리뷰] 취미는 과학 요즘 제가 자주 보는 프로그램은 '취미는 과학'입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자들과 한 명의 MC가 모여 하나의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 이전에도 '알쓸인잡', '알쓸범잡' 등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좋아했습니다. 이번에는 과학이라는 큰 틀 안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공 지식을 가진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또 다른 이유는 EBS에서 방영해주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입니다.    취미는 과학 (취미는 과학)전국민이 과학을 취미로 삼는 그 날까지! 과학자들의 폭풍 수다! - 진행 : 데프콘, 항성, 이대한...home.ebs.co.kr  교육방송에서 해주는 프로그램이라 더욱 .. 2025. 1. 8.
[도서후기]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털보 과학관장이 들려주는 세상물정의 과학 저자: 이정모출판: 바틀비목차: 과학은 삶의 태도다 / 1부 삶의 균형 / 2부 이보다 더 염치없을 수는 없다 / 3부 과학자들이 뭘 안다고 그래 / 4부 같이 좀 삽시다 / 5부 조금 더 나은 미래   생화학자이자 서울시립과학관 관장인 이정모가 쓴 62편의 생활밀착형 과학 에세이. 과학적 사고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과학과 친해지면 삶이 조금은 편해지고 여유로워질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이를 테면 미꾸라지가 흙탕물을 일으키는 훼방꾼이 아니라 산소를 공급해주는 귀한 존재라는 과학적 사실을 통해 문제 많은 조직에 왜 바른말을 하는 직원이 꼭 필요한지를 지적하고, 작은 꽃들이 큰 꽃보다 먼저 피는 전략으로부터는 빽도 없고 힘도 없는 자들의 연대를, 자신의 것을 버리면서 빛을 발하는 원.. 2025. 1. 1.
뱀의 혀의 역할 (2025년 뱀의 해를 맞이하며)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으로,'푸른 뱀의 해'입니다.   을사년을 맞이해이번에는 '뱀'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세계 뱀의 날(World Snake Day)'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매년 7월 16일은세계 뱀의 날이라고 합니다.     이 기념일은 뱀의 중요성과뱀을 보호해야하는 이유를 널리 알리고자만들어진 국제적인 기념일인데요.    이 날을 통해 뱀에 대한 오해와 두려움을 줄이고생태계에서 뱀의 중요한 역할에 대해교육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해요.           흔히 사람들은 '뱀'이라고 하면위험하고 공격적인 동물,인간에게 불필요한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전 세계 3,900여 종 이상의 뱀 중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뱀은 200~300여 종 정.. 2024. 12. 29.
[도서리뷰] 우리는 매일 죽음을 입는다 책제목 : 우리는 매일 죽음을 입는다지은이 : 올든 위커옮긴이 : 김은령출판사 : 부키목차 : 추천의 글 | 옮긴이의 글 | 작가의 말 | 프롤로그 | 1부 탄광 속의 카나리아 | 2부 패션의 유독한 역사 | 3부 우리 몸이 치르는 대가 | 4부 현장 검증 | 5부 나 자신을 지키는 방법 | 에필로그 | 감사의 말 | 감수자의 글 | 용어 설명 | 주 책소개“이 책은 옷장 속 ‘침묵의 봄’이다!”24시간 우리 몸을 감싸는 옷에 감춰진 진실먹고 바르는 것에 예민한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늘고 있다. 유기농 밀가루로 만든 빵을 먹고, 천연 화장품과 세제를 쓰고, 각종 생활용품의 원산지와 성분을 꼼꼼하게 따진다.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가습기 살균제나 라돈 침대 같은 뉴스를 접할 때면 .. 2024. 12. 20.
[다큐 후기] 미스터리 연구소: 시간 여행을 하는 방법 이번 포스트는 다큐멘터리 시리즈 미스터리 연구소> 중에서 3번째 에피소드인 ‘시간 여행을 하는 방법’에 대한 리뷰입니다.  이 에피소드는 시간팽창, 시간과 중력/시간과 속력과의 관계에 대해서 소개하며 ‘시간 여행을 하는 방법’으로 실제 중력과 속력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공간에서 시간이 다르게 흐름으로써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중력은 시공간을 휘어지게 만들어 시간의 흐름이 달라지게 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중력이 클수록 시공간이 더 많이 왜곡되게 되고 시간이 더 느리게 흐르게 됩니다. 이 현상에 대한 예시로 이 다큐멘터리에서는 영화 ‘인터스텔라’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인터스텔라'에서 인듀어런스 호의 대원들은 블랙홀에 가까워 중력이 매우 센 ‘밀러 행성.. 2024. 12. 11.
[도서리뷰] 우리가 우주에 가야 하는 이유 책 제목 - 우리가 우주에 가야 하는 이유 지은이 - 풀윤(윤명헌) 출판사 - EBS BOOKS 목차   Part 1 Future Knowledge 지구인의 새로운 교양이제 우주를 배워야 할 때 / 우리가 곧 마주할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지구에선 맞고 우주에선 틀리다 / 인류의 호기심은 멈출 수 없다 / 인간이라는 경이로움 / 우주인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 우주 트렌드 리더 / NASA의 넥스트 레벨 / NASA 사람들 / NASA가 선사하는 기회와 영감 / 바이오시그니처를 찾아서 / 우주 탐사는 완벽한 수학 연주다! /우주정거장이 선사한 새로운 가능성 / 욕망이 있는 곳엔 갈등이 / ‘쌍둥이 역설’을 아시나요? / 수많은 천체 중에, 왜 달일까? / 아폴로 계획과 국제 협력 아르테미스 계획 .. 2024.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