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4 [도서리뷰]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책제목 :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지은이 : 루이스 월퍼트옮긴이 : 최돈찬출판사 : 궁리목차 : 1. 세포와 배아 / 2. 형태형성 / 3. 패턴형성 / 4. 손가락과 발가락 / 5. DNA 총칙 / 6. 세포 다양성과 세포 분화 / 7. 유전자와 파리 / 8. 회로망인 뇌 / 9. 성(SEX) / 10. 성장 / 11. 세포 증식과 암 / 12. 노화 / 13. 재생 / 14. 진화 / 15. 발생 프로그램 책소개 (출처; yes24)인간의 기원을 증명하는 생물학 중에서 가장 신비로운 발생을 설명해 주고 있다. 어떻게 이 다세포군이 눈, 코, 팔, 다리 뇌 등 우리 몸의 구조로 형성되어 가는 것인지, 그러한 구성원리가 알 속에 내재되어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들을 배아의 발생과정을 통해 설명.. 2024. 8. 14. 이산화탄소 포집 공장에 대해 아시나요?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역대급 폭염이 계속되고 있고, 세계 곳곳에서 이상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들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서 기후 위기의 심각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기후 위기에 맞서 각국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50년까지 제로(0)로 줄여 '탄소중립'을 이루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이 제대로 실천되지 않으면서, 지난해에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기온 상승폭이 1.15도에 이르렀고,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이라는 '1.5도 상승' 도달 시점이 2027년으로 앞당겨졌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인류가 고안한 대책 가운데 하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직접 빨아들여 지하에 저장하거나 다시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 일환으로 기후테크 기업 클라임웍스.. 2024. 8. 7. [도서리뷰]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32가지 생물학 이야기 책 제목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32가지 생물학 이야기 지은이 - 이나가키 히데히로 출판사 - 사람과나무사 목차 ①장_ 황제펭귄은 왜 다 자란 새끼가 어른보다 몸집이 클까?1. 황제펭귄은 왜 다 자란 새끼가 어른보다 몸집이 클까?2. 쇠무릎이 천적 애벌레의 ‘성장’을 돕는 영리하고도 섬뜩한 속내는?3. 어린 말미잘은 해파리처럼 헤엄쳐 다니는데, 어른 말미잘이 바위에 붙어 여생을 보내는 이유는?4. 집게벌레는 왜 새끼들이 자기 몸을 뜯어 먹는 동안 천적으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싸우며 죽어갈까?5. 수컷과 암컷 개복치 두 마리가 한꺼번에 3억 개의 알을 낳아 그중 두 마리 정도만 성체로 키우는 까닭은?②장_ 우두머리 수컷 고릴라는 왜 육아휴직을 내고 새끼들을 돌볼까?6. 배우지 않고도 살 수 있는.. 2024. 8. 1. [다큐리뷰] 유전자 가위 맞춤형 인간 설계 가능한가? '다큐S프라임'은 YTN 사이언스 유튜브 채널에서 볼 수 있으며, 오늘 리뷰할 다큐는 '유전자 가위 맞춤형 인간 설계 가능한가?' 입니다. 이 다큐멘터리는 생명공학의 혁명적인 기술인 유전자 가위에 대한 다큐멘터리입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유전자 가위가 등장함으로써 바이오 르네상스 시대가 시작되었다고 말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유전자 가위가 인류의 삶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를 주의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현재 생명공학에서 가장 뜨거운 이슈인 유전자 가위란 정확하게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말하자면 유전자 가위는 내가 원하는 DNA 서열에 가서 자를 수 있는 도구입니다. 저는 다큐멘터리를 보기 전까지는 최근 개발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가장 처음 만들어진 유전자 가위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제 1세.. 2024. 7. 24. [도서후기] 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저자: 카를로 로벨리출판: 쌤앤파커스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모든 순간의 물리학≫ 의 저자 카를로 로벨리 최신작. 이 책은 북해의 섬 헬골란트에서 스물세 살의 독일 청년이 발견한 ‘양자론’에 대한 아이디어로 시작한다. 그의 이름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헬골란트 섬에서 출발한 이야기는 양자론의 탄생과 해석들, 그로 인한 혼란 그리고 오직 ‘상호작용’으로만 이루어진 세계의 실체, 양자론의 ‘관계론적’ 해석에까지 이른다.우리는 이 세상을 물질의 측면에서 생각하지만, 사실 ‘현실’이라고 부르는 이 세계는 ‘상호작용하는 실체들의 광대한 네트워크’다. 대상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 바로 그 대상 자체인 것이다. 소년이 돌을 던지고, 돌은 날아가 공기를 움직이고, 나무는 태양으로부터 산소를 만들고, 사람들은 .. 2024. 7. 18. 화성에서 일 년 살이 - NASA 프로젝트 차피(CHAPEA) 지난 7월 6일, 인류가 화성에서 장기 거주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이 종료되었습니다.본 실험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2023년부터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외부와 단절된 채 진행된차피 (Crew Hear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 CHAPEA) 프로젝트인데요.미국 휴스턴에 건설된 모의 화성 기지에서 훗날 실제 화성에 도착했을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목적으로,기지를 만드는 것부터 식량 조달을 위해 농사를 짓는 것까지인류가 화성에서 장기 거주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지난 378일 간 실험에 참여한 사람은 총 4명으로,의학자 겸 임무 지휘관인 켈리 해스턴, 건축 구조물 공학자 로스 브룩웰, 응급의학과 의사 .. 2024. 7. 11. 이전 1 2 3 4 5 6 7 8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