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5

새 정권에서 과학의 미래는? 2022년 제 20대 대선은 윤석열 후보의 당선으로 결과가 나왔는데요. 새로운 정권에서 윤석열 당선인이 내걸었던 과학기술 공약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과학기술 공약들에 대해 살펴보려 합니다. 우선 윤 당선인은 '과학 기반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를 내세우며 "과학기술 추격국가에서 첨단기술 선도국가로 만들겠다"고 말한 바가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 가장 먼저 대통령 직속 민관 협동 과학기술위원회를 만들어 컨트롤 타워를 만들겠다고 주장하였는데요. 이는 행정부 고위직에 과학기술 전문가를 중용하고, 과학기술을 바탕으로하여 국정 의사를 결정하겠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현재 국가과학기술자문회가 하는 역할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조직을 내실화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지적도.. 2022. 3. 16.
[도서리뷰] 클라라와 태양 책제목: 클라라와 태양 지은이: 가즈오 이시구로 옮긴이: 홍한별 출판사: 민음사 목차: 1부/2부/3부/4부/5부/6부 지금으로부터 멀지 않은 미래, AF(Artificial Friend)라 불리는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 아이들의 친구로 생산되어 팔리기 시작한다. 그중 유난히 인간을 열심히 관찰하고 그들의 감정과 소통을 익히는 데 관심이 많은 소녀 AF 클라라는 AF 매장 쇼윈도에서 자신을 데려갈 아이와의 운명적인 만남을 기다린다. 어느 날 거리를 관찰하고 있던 클라라에게 다가 온 조시라는 이름의 소녀. 조시는 클라라를 데려가겠다고 굳게 약속하고, 클라라는 그날이 찾아오기만을 기다린다. (yes24 책 소개 중 일부) 이 책은 '책 읽어주는 나의 서재'라는 프로그램 소개 영상을 보고 처음 접하게 되었습니다.. 2022. 3. 9.
[영화리뷰] 돈 룩 업 천문학과 대학원생 케이트 디비아스키(제니퍼 로렌스)와 담당 교수 랜들 민디 박사(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태양계 내의 궤도를 돌고 있는 혜성이 지구와 직접 충돌하는 궤도에 들어섰다는 엄청난 사실을 발견한다. 하지만 지구를 파괴할 에베레스트 크기의 혜성이 다가온다는 불편한 소식에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 지구를 멸망으로 이끌지도 모르는 소식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언론 투어에 나선 두 사람, 혜성 충돌에 무관심한 대통령 올리언(메릴 스트립)과 그녀의 아들이자 비서실장 제이슨(조나 힐)의 집무실을 시작으로 브리(케이트 블란쳇)와 잭(타일러 페리)이 진행하는 인기 프로그램 ‘더 데일리 립’ 출연까지 이어가지만 성과가 없다. 혜성 충돌까지 남은 시간은 단 6개월, 24시간 내내 뉴스와 정보는 쏟아지고 사람들.. 2022. 3. 2.
[도서리뷰] 식물학자의 식탁 책 제목 - 식물학자의 식탁 지은이 - 스쥔 출판사 - 현대지성 목차 - 1부. 식물학자의 경고_은행/용규/카사바/감초/야생 식물/터키 베리/진달래/연리초/그물버섯/나한송/홍두삼/자배천규/옻나무/ 2부. 식물학자의 추천_셀러리/참죽나무/고사리/시금치/아스파라거스/미후도/감/채소 형제 연대/차/핵도/추규/ 3부. 식물학자의 개인 소장품_육두구/박하/빙초/육계와 계화/개말/조미료/대마/양귀비/빈랑/요과/앵도/계단화/우두 식물학에 하루 세 끼를 적용하니, 과학도 맛있는 한 상의 요리가 된다. 식물학植物學은 식물의 생활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생물학의 한 분과이다. 이 학문에서 우리는 식물의 재배 역사, 전파 경로, 화학 성분, 심지어 조리 방법까지 배울 수 있다. 『식물학자의 식탁』은 식물에 대한 이런 광범위한 .. 2022. 2. 24.
사람에게 돼지 장기를 이식한다면? 지난 1월 심장 이종장기 이식에 성공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미국 메릴랜드 대학 연구팀이 지난 1월 7일 형질전환돼지 심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수술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면서 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종장기이식은 유전적 변형 유무와 관계없이 동물의 살아 있는 장기나 조직, 세포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1년 12월 16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국내 뇌사 장기 기증자 수는 2016년 573명에서 지난해 478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이에 따라 장기 이식 대기자 수가 2016년 2만 4611명에서 2021년 3만 8264명(9월 기준)으로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장기 조직기증원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의료기관의 기증 관련 관심 .. 2022. 2. 16.
[도서리뷰] 사이보그가 되다 저자: 김초엽, 김원영 출판: 사계정 각기 청각장애(김초엽)와 지체장애(김원영)를 지닌 채 살아온 시간과 장애권리운동의 자장 안에서 키워온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들은 장애라는 고유한 경험이 타자, 환경,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과학기술과 결합할 때 우리가 맞이할 수 있는 다른 내일을 제시한다. 장애인의 인지 세계와 감각, 동작을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한 세계를 상상하는 김초엽, 각기 다른 취약함과 의존성을 지닌 존재들이 더 긴밀하게 접속하여 서로를 돌볼 수 있는 미래의 기술을 기대하는 김원영. 두 사람은 각자의 오랜 문제의식을 멀리, 또 깊숙이 밀고 나아가 이 세계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모든 위계와 정상성 규범 너머에서 서로를 재발견하고 환대할 미래를 그린다. 여기, 사이보그라는 상징을 통과해 더.. 2022.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