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신혜우
출판: 김영사
이번에 리뷰할 도서는 식물학자 신혜우 작가의 <식물학자의 노트>입니다. 예전에 리뷰했던 이소정 작가의 <식물의 책>을 읽은 이후로 식물세밀화에 관심이 많아져서 이번 기회에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신혜우 작가는 <랩걸>의 표지를 그린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도서리뷰] 식물의 책
저자: 이소영 출판: 책읽는수요일 목차: 들어가며 잡초의 쓸모 … 민들레 | 먹고 바르는 식물 … 알로에 | 크고 오래된 나무의 생명력 … 느티나무 | 개나리 열매를 본 적 있나요? … 개나리 | 식물
gmwlab.tistory.com
P8. 식물 그림은 그리는 식물 종에 대해 깊이 조사하고 전 생애를 관찰하여 최소 1년에 걸쳐 제작됩니다. 그릴 때는 문헌 조사와 오랜 관찰 많은 표본을 살펴보는 길고 고된 과정이 있습니다. 관찰해야 하는 중요 부분을 놓치기라도 하면 다음 해를 기다려야하기 일쑤이지요. 그런 고된 과정만큼 모든 내용이 집약된 한 장의 그림을 완성하면 더없이 뿌듯합니다.
P33. 생물분류학의 기초를 확립하였고, ‘식물학의 시조’라고 불리는 스웨덴 식물학자 칼 폰 린네Carl von Linne∙1707~1778는 하루 동안 꽃이 피고 지는 시간을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시간을 이용해 꽃시계를 만들 수 있음을 제안하였지요. 방가지똥, 치커리, 서양민들레, 백수련 등 피고 지는 시간이 다른 마흔여섯 종의 꽃으로 시계를 만들었습니다.
P54. 최초의 나무는 고생대 석탄기에 나타나, 지금은 멸종한 와티에자속Wattieza에 속하는 고사리였습니다. 최초의 나무가 고사리였다는 것이 신기합니다.
P142. 광합성을 할 필요가 없는 기생식물은 잎도 없고, 꽃만 피었다가 금방 져 버리기 때문에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런 야고를 많이 만날 수 있는 곳이 서울에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하늘공원입니다. 억새밭이 넓게 조성된 이곳에는 가을마다 억새만큼 많은 야고 꽃이 피어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최초의 나무가 고사리였다는 사실이나 기생식물인 야고를 하늘공원에서 볼 수 있다는 등 식물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많이 알 수 있어서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하늘공원은 몇 번이나 갔지만 억새만 보고 돌아왔었는데 미리 이러한 내용을 알았다면 야고를 찾아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었을 것 같아서 아쉽기도 했습니다. 또한 책 중간중간에 식물세밀화들이 많이 있어서 세밀화를 보면서 식물에 대한 이해도 높일 수 있었고 좋았습니다.
P243. 사람들이 사는 곳에서는 은행나무, 소철, 메타세쿼이아를 그토록 흔하고 쉽게 볼 수 있는데, 자연 속에서는 희소한 존재라는 것이 참 아이러니합니다. 늘 가까이에서 볼 수 있어서 흔하다 여기고 소중함을 잊게 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그런 것들의 존재와 가치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고 싶습니다.
P257. 식물분류학자들 사이에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멸종위기식물을 지정하면 그 식물은 곧 그 자생지에서 사라지더라는 것이죠. 자생지가 알려지면 도굴꾼들이 금방 식물들을 다 캐가기 때문입니다. 학자들은 멸종위기 종을 보전하기 위해 조사하고 보고하지만, 그것이 식물에게 정말 좋은 것인지 고민되는 순간이 많습니다.
P273-276. 이 책을 읽으며 지구에 함께 살고 있는 식물을 위해, 점점 더 외로워지는 식물을 위해, 식물에게 배운 만큼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많은 식물들이 사라지기 전에 우리가 모두 만날 수 있길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각 장마다 작가의 생각이 담겨있고,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내용들이 담겨있어서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요즘 식물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읽어보면 식물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인 책 평가: ★★★★☆
'소소한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리뷰] 아주 작은 죽음들 (0) | 2023.06.21 |
---|---|
[도서리뷰] 동물들의 위대한 법정 (0) | 2023.06.08 |
[도서리뷰] 지구를 구할 여자들 (1) | 2023.05.10 |
[도서리뷰] 왜 아플까 (0) | 2023.04.27 |
[도서리뷰] 우울할 땐 뇌 과학 (2)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