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9

[다큐리뷰] 백만 년 후 인류의 미래: 1화 호모 사피엔 2.0 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다큐멘터리로, 먼 미래에 특정 과학 기술이 매우 발전하면 어떻게 될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현재 1개 시즌에 6개의 회차가 있으며, 이번에는 그중 1화인 ‘호모 사피엔 2.0’의 리뷰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호모 사피엔 2.0’은 인공지능을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매우 발달한 미래는 어떻게 펼쳐질까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큰 사고를 당한 딸의 뇌를 안드로이드에 옮겨서 되살아나게 했다면 이 인공지능 안드로이드를 어떻게 봐야 할 것인가를 중심으로 하여 내용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영상의 초반부에는 당시 인공지능 기술이 어느 정도 발전이 되었고 어떤 연구가 진행되는지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가 2017년에 제작되었는데 그 당시 이미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 2021. 12. 8.
[도서리뷰] 쓸모없는 것들이 우리를 구할거야 책 제목 - 쓸모없는 것들이 우리를 구할거야 지은이 - 김준 출판사 - 웅진 지식하우스 목차 - 프롤로그 과학이라는 여행 / 1. 이토록 아름다운 쓸모없는 것들, 어쩌다 과학자, 예쁜꼬마선충은 사랑입니다, 쓸모없는 것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대장균은 예쁜꼬마선충이 된다, 생물이 미생물에 대처하는 자세, 재미있는 논문의 기쁨과 슬픔, 더 많은 연습문제가 필요한 이유 / 2. 과학하는 마음,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아주 작고 따뜻했던 생쥐에 대하여, 언제나 새로운 눈이 필요하다, 다함께 생물 덕질합시다, 작고 투명해서 고마운 친구들, 아직 누구도 가보지 않은 저 너머에, / 3. 내겐 너무 사랑스러운 돌연변이, 온갖 생명의 과학, 우리에겐 더 많은 돌연변이가 필요하다, 어떤 ‘오타’는 세상을 바.. 2021. 12. 2.
메타버스(Metaverse) 각광받는 이유는? 최근 소셜미디어 업체인 페이스북이 회사명을 '메타(Meta)'로 변경하였습니다. 새로운 로고는 무한대를 뜻하는 수학기호 모양으로 메타의 'M'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마크 저커버스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0월 28일 온라인으로 열린 '커넥트 콘퍼런스 2021'에서 “5년 후 페이스북이 메타버스 기업으로 인식되기를 원한다. 메타버스 사업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회사명을 바꾼 것”이라며 사명 변경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메타버스가 모바일 인터넷의 후계자가 될 것" 이라며 이날 1시간 30분 동안 ‘커넥트 콘퍼런스’를 통해 메타의 미래 사업 비전을 밝혔습니다. Everything Facebook revealed about the Metaverse in 11 minutes (출처; CNET) 요즘 .. 2021. 11. 24.
[도서리뷰]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로 했어 저자: 천선란, 박해울, 박문영, 오정연, 이루카 출판: 허블 목차: 천선란, 「뿌리가 하늘로 자라는 나무」/박해울, 「요람 행성」/박문영, 「무주지」/오정연, 「남십자자리」/이루카, 「2번 출구에서 만나요」 천선란, 박해울, 박문영, 오정연, 이루카, 지금의 한국 SF계에서 가장 결정적인 이름을 호명하자면 바로 이들일 것이다. 『천 개의 파랑』과 『기파』로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부문 대상을 수상한 천선란과 박해울, 마찬가지로 한국과학문학상 출신의 오정연과 이루카, 『사마귀의 나라』와 『지상의 여자들』로 각각 SF 어워드 대상과 우수상을 수상한 박문영. 지금의 한국 SF를 가장 뜨겁게 달구고 있는 그들은 모두 여성이다. 2021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나오는 앤솔러지 『우리는 이 별을 떠나기.. 2021. 11. 17.
[다큐리뷰] 브레이킹 바운더리:지구의 과학 https://www.youtube.com/watch?v=Gb6wQtNjblk 이번에 소개할 작품은 2021년 6월 4일 개봉된 러닝타임 73분의 넷플릭스 다큐, '브레이킹 바운더리: 지구의 과학 (breaking boundaries: The Science of Our Planet)' 입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한 이후로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그야말로 전 지구적인 충격이었죠. 의료 서비스가 마비되고 세계 경제는 처참하게 무너졌습니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는 예전부터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을 이미 경고해 왔다고 합니다. 자연을 훼손하고 생태계를 무너뜨리는 우리 인간의 활동, 산업 활동을 통해 무수히 배출된 오염물질, 자연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상황 등이 전부 복합적으로 신종 바이러스가 창.. 2021. 11. 10.
[도서리뷰] 운명의 과학 제목: 운명의 과학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과학 지은이: 한나 크리츨로우 옮긴이: 김성훈 출판사: 브론스테인 목차: 1.자유의지냐 운명이냐/2.발달 중인 뇌/3.배고픈 뇌/4.보살피는 뇌/5.지각하는 뇌/6.믿는 뇌/7.예측 가능한 뇌/8.협동하는 뇌 '1. 자유의지냐 운명이냐' 부분에서 저자인 한나 크리츨로우는 인간의 의식과 행동에 관한 궁금증에 대해 이야기하며서 이 책을 쓴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나는 세상 현실에 대한 인간의 개별 인식을 어떻게 구축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의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중략) 생물학적 결정론이라는 맥락에서 뇌를 조사하고 있다고는 해도 건강과 관련된 결과, 특히나 정신건강과 관련된 결과에 대해서도 얘기하려고 한다. p. 21-22 ‘우.. 2021.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