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실제 과학관 관람이 어려운 관계로 국립과천과학관 유튜브에서 진행한 <400년만의 목성, 토성 대근접 온라인 생중계>로 과학관 탐방을 대체하고자 합니다.
목성, 토성 대근접 온라인 생중계는 400년만에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이 일어난 12월 21일에 진행되었습니다. 온라인 생중계에서는 먼저 대근접이 일어나는 이유와 목성, 토성에 대한 설명이 먼저 이루어졌고, 목성, 토성 대근접 모습을 망원경과 과학관 외부 카메라 영상으로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보여주었습니다.
지난 중미산 천문대에 갔을 때에도 느꼈지만 우주나 천체 관측은 정말 매력적인 것 같습니다. 사실 이 영상을 보기 전에는 그냥 두 행성이 가까이 관찰되는게 그렇게 재미있을까 생각했었는데, 이전에 행성의 회합 주기라던가 목성, 토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을 듣고 실제로 망원경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보면서 목성과 토성을 관찰하니 신기하고 재미있었습니다.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행성의 회합주기에 의해 목성과 토성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되는 때가 발생하는데, 이때 지구에서 목성과 토성을 바라보면 두 행성이 매우 가깝게 보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행성의 회합주기는 원래 태양(S)과 지구(E), 그리고 내행성(PI) 또는 외행성(PO) 일직선으로 위치하는 주기를 나타내지만 목성과 토성의 대근접은 목성과 토성의 회합주기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목성과 토성의 회합주기만 생각하면 되는 이유는 목성과 토성의 위치에 비하여 지구는 태양에서 매우 가깝기 때문에 지구의 위치는 관측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 가운데 큰 주황색 원이 태양으로 가까이에 돌고 있는 4개의 원이 각각 수성, 금성, 지구, 화성입니다. 그림에서 보면 지구는 목성이나 토성에 비해 태양과 매우 가깝게 위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상은 어른들만이 대상이 아니라 어린 학생들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설명이 그렇게 어렵지 않게 이루어지고, 중간에 상황극 등을 넣어 재미있게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국립과천과학관 채널에는 이 영상 외에도 다양한 과학이나 과천과학관을 주제로 한 영상들이 많이 올라와있어 시국이 시국이니만큼 실제로 가서 즐기기 어려운 과학관을 온라인을 통해 즐겨보려고 합니다. 색다르게 과학을 즐겨보고 싶으면 이렇게 유튜브를 통해서 과학을 즐겨보는 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소소한 과학관 탐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큐리뷰] 스토리봇에게 물어보세요 (1) | 2025.02.10 |
---|---|
[과학관] 서대문자연사박물관 (1) | 2024.05.02 |
중미산 천문대 (0) | 2020.09.02 |
국립과천과학관 VR로 즐기기 (0) | 2020.08.04 |
서울대공원 장미원 (0) | 2020.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