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제목 : 신약의 탄생
지은이 : 윤태진
출판사 : 바다출판사
목차 : 들어가며 / 편집자가 묻고, 저자가 답하다: 신약 개발의 최전선에서 / 제1부 신약 개발의 판도가 변하고 있다 / 제2부 신약의 탄생 / 제3부 노화, 마지막 과제 / 제4부 더 건강한 삶을 위해 / 나가며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책소개
암, 알츠하이머병, 감염병, 노화 등 인류를 바꿀 신약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코로나19 팬데믹이 전세계를 병들게 하는 지금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새로운 치료약과 백신의 필요성을 실감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는 너무 쉽게 약을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런 약들이 인류의 삶을 얼마나 변화시켰는지 망각하고 살았다. 치료약이 없었다면 인류의 평균 수명은 이렇게까지 늘어나지 못했을 것이며 백신이 없었다면 우리는 전염병의 공포로 인해 여러 나라를 자유롭게 오가지 못했을 것이다. 20세기 기술 문명의 발전과 걸음을 같이 했던 의약품은 현재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 최전선에는 수많은 사람이 기지와 재능을 쏟아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신약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앞으로 어떤 과제들이 남아 있나? 암, 알츠하이머병, 감염병 등 아직 정복되지 못한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떤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유한양행 신사업개발팀을 이끌며 한국의 제약 기술을 해외로 수출하는 일을 진행하는 윤태진 박사가 약물의 최신 개발 현장에서 일어나는 혁신들을 살펴보며 신약 개발의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변화들을 이야기한다.
* 출처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0300035>
가끔 뉴스를 보면 해외 및 국내의 과학자들이 암이나 비만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는 내용을 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로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하는 과정은 상상보다 길고 더딥니다. 약물에 대한 기초 연구가 시작된 후 정식 치료제가 시중에 유통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보통 20년이 넘는다(p. 24)고 합니다.
면역항암제의 예를 들어보자. 면역항암제가 새로운 항암 치료법으로 각광을 받은 것은 꽤 최근의 일이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무려 20년 전인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 (중략) 이후 짧게는 17년에서 길게는 24년의 연구 및 임상시험을 거친 이후에야 이 치료법은 미국 식품의약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최종 승인을 받을 수 있었다. p. 26-27
면역항암제뿐만 아니라 CAR-T 역시 몇십 년 전부터 연구가 진행 중인 치료법입니다.
CAR-T는 환자의 T세포가 직접 암을 공격하게 만드는 새로운 플랫폼의 치료제(p. 43)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과도한 면역반응이 유도되어 부작용을 통제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새로운 암에 즉각적으로 적용할 보편성이 없다는 점입니다.
부작용에 관련해서는 특정한 암세포 만을 인식하도록 CAR의 특이성을 좀더 정교화하는 연구를 통해 2세대, 3세대 CAR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반면에 기존의 CAR와 다르게 범용 CAR은 직접 암 항원을 조준하지 않고 유사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암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면역항암제의 원리를 발견한 혼조 다스쿠 교토 대학 교수와 제임스 앨리슨 미국 텍사스 대학 교수는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이제는 항암 치료의 큰 흐름이 면역항암제로 넘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장은 아닐 것 같다. p. 108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하는 것이 '면역항암제' 입니다. 암세포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표면에 PD-L1을 발현합니다. 이에 대해 면역항암제는 항체를 생산해 PD-1과 PD-L1의 결합을 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듭니다.

기존의 항암제들과 달리 면역력을올려서 암을 치료하는 면역항암제에서는 약물 내성이 생기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있었지만, FDA에서 승인된 면역항암제들에서도 약물 내성이 발견되기 시작(p. 111)했습니다.
예전부터 면역항암제와 CAR-T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신약들이 어떻게 개발되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고 면역항암제 CAR-T에 대한 내용 이외에도 프로탁, 트림어웨이라는 새로운 약물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암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 자가면역질환, 노화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는 표와 그림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론적인 부분을 이해하기 수월하도록 했습니다. 어떤 물질과 수용체가 결합하여 면역반응이 일어나는지를 도식화하여 잘 보여주었습니다.
개인적인 평점은 3.5점입니다.
'소소한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서후기] 사라진 여성 과학자들 (4) | 2025.03.27 |
---|---|
[도서리뷰] 환경호르몬과 여성질환 (4) | 2025.02.27 |
[도서후기] 숫자에 약한 사람들을 위한 통계학 수업: 데이터에서 세상을 읽어내는 법 (10) | 2025.02.14 |
[도서리뷰] 우리에겐 과학이 필요하다 (2) | 2025.01.30 |
[도서리뷰] 과학을 보다2 (12) | 2025.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