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77 싱크홀은 왜 생기는 걸까? 지난달 8월 29일 연희동 성산대교로 향하는 성산로 편도 4차로 가운데 3차로에서 가로 6m, 세로 4m, 깊이 2.5m 크기의 땅 꺼짐(싱크홀)이 발행해 승용차가 통째로 빠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일상적으로 오가던 도심의 도로에서 사고가 나자 인근 시민들이 우려를 표했습니다. 싱크홀이 발생한 지점 바로 아래쪽으로 도시가스관과 상수도관 등이 지나가면서 자칫 대형사고로 번질 우려도 있었으나 가스관 파손이나 가스 누출 등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싱크홀의 원인으로 지하 시설물 이상 가능성과 장마로 인한 토사 유실 가능성 등을 거론했습니다. 사고 지점에서 직선거리로 170m 정도 떨어진 홍제천 인근에 빗물 유입 관로 공사가 이뤄지고 있는 점이 사고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 2024. 9. 4. [도서후기] 100년 후 학교 저자: 소향, 윤자영, 이지현, 정명섭출판: 생각학교목차: Schoolverse – 소향 / 드레이븐 이종 고등학교의 괴짜들 – 정명섭 / 특별전형 – 이지현 / 우린 공존할 수 있을까? - 윤자영 참신한 주제와 풍부한 내용으로 1318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생각학교의 문학 시리즈, 클클문고의 아홉 번째 작품. 《100년 후 학교》는 청소년들에게 가장 익숙한 장소인 ‘학교’를 소재로 한 네 편의 단편 SF 앤솔러지이다. 젊은 작가이자 현직 교사인 소향, 윤자영, 이지현 저자와 학교 글쓰기 수업 교사로 활동하며 학교와 인연이 깊은 정명섭 작가가 함께했다. 지구환경은 망가져 가고, 학교에 다녀야 할 학생들은 점점 줄어드는 반면 과학기술은 날로 발달하여 우리는 시공간에.. 2024. 8. 28. [다큐리뷰] TV생물도감 : 성게/아기상어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과학 다큐넷플릭스에 있는 입니다. 넷플릭스 은 구독자 78만, 생물 관찰 유튜브 채널 'TV생물도감'에 있는 영상을 넷플릭스에서 편하게 볼 수 있게 에피소드 별로 정리해둔 것인데요.각 에피소드들은 다양한 생물을 키우고 관찰하며 배운 여러 정보와 재밌는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을 통해다양하고 신기한 생물들을야생과 야외에서 찍은 영상으로 관찰하고,흥미로운 주제의 실험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시리즈 중1화 '성게/아기상어' 편에 대해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NS에서 모자를 쓴 성게 사진을 본 적이 있으신가요? 이 사진은 해외의 한 성게 애호가가성게의 습성을 이용하여 재밌는 실험을 한 모습인데요. .. 2024. 8. 21. [도서리뷰]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 책제목 : 하나의 세포가 어떻게 인간이 되는가지은이 : 루이스 월퍼트옮긴이 : 최돈찬출판사 : 궁리목차 : 1. 세포와 배아 / 2. 형태형성 / 3. 패턴형성 / 4. 손가락과 발가락 / 5. DNA 총칙 / 6. 세포 다양성과 세포 분화 / 7. 유전자와 파리 / 8. 회로망인 뇌 / 9. 성(SEX) / 10. 성장 / 11. 세포 증식과 암 / 12. 노화 / 13. 재생 / 14. 진화 / 15. 발생 프로그램 책소개 (출처; yes24)인간의 기원을 증명하는 생물학 중에서 가장 신비로운 발생을 설명해 주고 있다. 어떻게 이 다세포군이 눈, 코, 팔, 다리 뇌 등 우리 몸의 구조로 형성되어 가는 것인지, 그러한 구성원리가 알 속에 내재되어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들을 배아의 발생과정을 통해 설명.. 2024. 8. 14. 이산화탄소 포집 공장에 대해 아시나요?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역대급 폭염이 계속되고 있고, 세계 곳곳에서 이상 기후로 인한 자연재해들이 발생하는 것을 보면서 기후 위기의 심각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기후 위기에 맞서 각국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2050년까지 제로(0)로 줄여 '탄소중립'을 이루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이 제대로 실천되지 않으면서, 지난해에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 대비 기온 상승폭이 1.15도에 이르렀고,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이라는 '1.5도 상승' 도달 시점이 2027년으로 앞당겨졌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인류가 고안한 대책 가운데 하나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직접 빨아들여 지하에 저장하거나 다시 활용하는 것입니다. 그 일환으로 기후테크 기업 클라임웍스.. 2024. 8. 7. [도서리뷰]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32가지 생물학 이야기 책 제목 -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32가지 생물학 이야기 지은이 - 이나가키 히데히로 출판사 - 사람과나무사 목차 ①장_ 황제펭귄은 왜 다 자란 새끼가 어른보다 몸집이 클까?1. 황제펭귄은 왜 다 자란 새끼가 어른보다 몸집이 클까?2. 쇠무릎이 천적 애벌레의 ‘성장’을 돕는 영리하고도 섬뜩한 속내는?3. 어린 말미잘은 해파리처럼 헤엄쳐 다니는데, 어른 말미잘이 바위에 붙어 여생을 보내는 이유는?4. 집게벌레는 왜 새끼들이 자기 몸을 뜯어 먹는 동안 천적으로부터 새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싸우며 죽어갈까?5. 수컷과 암컷 개복치 두 마리가 한꺼번에 3억 개의 알을 낳아 그중 두 마리 정도만 성체로 키우는 까닭은?②장_ 우두머리 수컷 고릴라는 왜 육아휴직을 내고 새끼들을 돌볼까?6. 배우지 않고도 살 수 있는.. 2024. 8. 1.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