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위고비’는 비만 치료제로 해외에서 많은 유명인들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유명세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15일 ‘위고비’가 국내에서 출시되었습니다. ‘위고비’는 현재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부작용 및 오남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위고비’의 효과 및 부작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고비의 주요 성분은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유사체인 ‘세마글루티드’입니다. GLP-1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인슐린 분비를 늘려 혈당을 낮추고 음식물의 통과를 지연시켜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입니다.
이 GLP-1이 체중을 줄이는 원리는 최형진 서울대 의대 교수와 케빈 윌리엄스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메디컬센터 교수 공동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고 합니다. 이 GLP-1 유사체는 뇌의 시상하부에 위치한 DMH 신경에 작용해 포만감을 높인다고 합니다.
‘노보노디스크’는 이 약을 처음에 ‘오젬픽’이라는 당뇨병 치료제로 개발했으나 체중 감량 효과가 입증되면서 비만 치료제로 허가를 받게 되었습니다. 임상 결과에 따르면, 68주간 위고비를 투여했을 때 평균 15%의 체중 감량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와 더불어 심혈관질환을 비롯한 각종 대사 질환과 치매 등에도 효능을 보였습니다.
위고비는 체질량지수(BMI)가 30㎏/㎡ 이상인 성인 비만 환자 또는 BMI가 27㎏/㎡ 이상 30㎏/㎡ 미만이면서 고혈압·당뇨·이상지질혈증·심혈관 질환 등 1개 이상의 동반 질환을 가진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허가받은 전문의약품입니다.
하지만 뉴스에 따르면 위의 기준은 권고사항이어서 미용 목적의 체중 감량을 위해 처방을 받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위고비는 두통 및 구토, 설사, 변비, 담석증, 모발손실, 급성췌장염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서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아이슬란드 의약품청과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위고비가 자살 충동 등 정신적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또한 위고비는 BMI 27 이하인 환자에게는 연구되지 않았고, 위고비 투여를 중단하게 되면 체중이 다시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습니다.
한편, 국내 제약업계도 비만 치료제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한미약품은 지난해 식약처로부터 비만 치료제로 개발 중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계획을 승인받았습니다. 유한양행 역시 바이오 벤처기업인 인벤티지랩과 비만·당뇨 치료를 목적으로 한 주사제를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동아에스티(ST), 대원제약 등은 피부에 붙이는 패치 형태의 비만 치료제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참고자료
모바일한경, 조영민 교수, <혈당·체중·심혈관까지… 대세로 떠오른 ‘일석N조’ GLP-1>,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302017280i&category=&sns=y
바이오타임즈 김가람 기자, <국내서도 ‘위고비 신드롬’ 예고…강력한 효과만큼 부작용도 만만찮아>, https://www.bio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563
조선일보 김효인 기자, <세계 뒤흔드는 위고비의 살빼는 원리, 한국연구팀이 밝혔다>,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4/06/28/6KAUEYNGAFC4HFHVIY3BW6FVZQ/
한겨레신문 박지영 기자, <한국 상륙하는 ‘위고비’…다이어트 보조제 X, 비만 치료제 O>,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162394.html
'소소한 과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의 혀의 역할 (2025년 뱀의 해를 맞이하며) (3) | 2024.12.29 |
---|---|
세상에서 가장 큰 산호초 (3) | 2024.11.28 |
아토피피부염 바이오마커의 시대 (4) | 2024.10.05 |
싱크홀은 왜 생기는 걸까? (4) | 2024.09.04 |
이산화탄소 포집 공장에 대해 아시나요? (2) | 2024.08.07 |
댓글